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2025년 청년도약계좌 수령액 계산법, 나중에 얼마 받을 수 있을까?

by 부키5 2025. 5. 13.

 

매달 저축하면 최대 5천만 원? 청년도약계좌 실제 수령액 계산하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금을 함께 적립해주는 정책형 장기 저축 제도입니다.
2025년 현재는 월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면, 만기 5년 뒤 최대 5,000만 원 이상 수령 가능한 구조로 운영됩니다.
하지만 소득, 납입금액, 정부지원금, 이자 등에 따라
실제 수령액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계산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수령액 계산 구조와 본인의 수령액을 추정하는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청년도약계좌 구조 이해: 납입금 + 정부지원 + 이자가 복합된 수령액

청년도약계좌는 아래 세 가지 항목이 복리 이자로 5년간 합산되는 방식입니다.

  1. 본인이 납입한 월 최대 70만 원
  2.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월 최대 4만 원의 지원금
  3. 예금 이자 (연 3.5~4.5% 수준, 가입 금융사마다 차이 있음)

즉, 단순 적립이 아닌 지원금과 이자가 함께 붙는 복합형 자산 상품입니다.


본인 소득에 따라 정부지원금이 달라집니다

정부지원금은 본인의 **직전 연도 가구소득 분위(중위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소득분위정부지원금 (월 기준)
1~2분위 4만 원
3~4분위 2.4만 원
5~6분위 1.6만 원
7~8분위 지원 없음 (본인 납입만 적립)
 

정부지원금은 이자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소득 분위가 높을수록 실수령액은 줄어듭니다.


청년도약계좌 수령액 계산 예시

매월 70만 원 납입, 소득 2분위, 이자 연 4.0% 기준

  • 본인 납입액: 70만 원 × 60개월 = 4,200만 원
  • 정부지원금: 4만 원 × 60개월 = 240만 원
  • 예상 이자 합계(복리 추정): 약 610만 원
  • 총 수령액: 약 5,050만 원

매월 50만 원 납입, 소득 4분위, 이자 연 3.8% 기준

  • 본인 납입액: 50만 원 × 60개월 = 3,000만 원
  • 정부지원금: 2.4만 원 × 60개월 = 144만 원
  • 이자 추정: 약 430만 원
  • 총 수령액: 약 3,570만 원

월 30만 원 납입, 정부지원 없음, 연 3.5% 이자

  • 본인 납입액: 1,800만 원
  • 정부지원금: 없음
  • 이자: 약 170만 원
  • 총 수령액: 약 1,970만 원

수령액 계산 시 유의사항

  • 중도 해지 시 지원금은 전액 환수되고, 이자도 축소됩니다
  • 이자율은 가입 금융기관,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예상 수익은 달라질 수 있음
  • 정부지원금은 매년 예산 확정 후 변동될 수 있어 가입 시점에 따라 차이 발생

내 수령액 미리 계산해보는 방법

  1. 청년도약계좌 공식 계산기 사용
    • 국세청 홈택스, 금융위원회 청년자산형성포털에서 제공
  2. 가입 은행 상담 또는 앱에서 시뮬레이션 실행
    • KB국민은행, 신한은행, NH농협 등 주요 은행 앱 이용 가능
  3. 정부지원금 예상 조회
    • 복지로 또는 마이홈포털에서 본인의 소득 분위 확인 후 추정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