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스마트폰 사용시 거북목과 목 디스크: 현대인의 목 건강 비상

by 부키5 2025. 3. 26.
반응형

거북목과 목 디스크

 

스마트폰 없는 삶, 상상할 수 있나요?

현대인의 일상에서 스마트폰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한국갤럽의 조사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만 18세 이상 성인의 스마트폰 사용률은 무려 98%에 달한다고 합니다. 특히 60대 이하 연령층에서는 거의 100%에 가까운 사용률을 보이며, 70대 이상 고령층에서도 90%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죠.

 

하지만 이렇게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우리의 목 건강에는 빨간불이 켜지고 있습니다. 거북목, 일자목 증후군, 그리고 심지어 목 디스크까지, 이 모든 것이 스마트폰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고개 숙이면 목이 받는 부담은?

길을 걷거나 지하철, 버스 안에서 스마트폰에 푹 빠져 있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개를 숙이고 구부정한 자세로 오랜 시간을 보내는 것은 목과 척추 건강에 치명적입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고개를 숙이면 목 근육이 머리를 붙잡기 위해 수축하면서 목에 가해지는 무게가 평소보다 훨씬 커진다고 해요.

 

성인의 머리 무게가 약 5kg 정도라면, 고개를 숙일 때 목에 실리는 무게는 무려 25kg, 머리 무게의 5배에 달하는 셈입니다. 이렇게 과도한 부담이 반복되면 목 건강에 문제가 생기는 건 시간문제겠죠.

 

거북목과 목 디스크

 

거북목, 일자목, 목 디스크로 이어지는 악순환

스마트폰을 오랫동안 구부정한 자세로 보면 목에 통증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렇게 설명합니다:

 

"바르지 않은 자세가 지속되면 정상적인 C자 형태의 목뼈(경추)가 일자목이나 거북목으로 변형되며 통증을 유발합니다. 더 나아가 C커브를 잃은 상태가 오래되면 디스크가 튀어나와 신경을 압박하는 목 디스크로 발전할 수 있어요."

 

초기에는 목이 뻐근하거나 피로감이 느껴지는 정도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어깨와 팔 통증, 심하면 손 저림 같은 신경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목 디스크 예방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법

그렇다면 목 디스크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중요한 건 바른 자세입니다. 다음 몇 가지 팁을 참고해보세요:

 

1. 자세 교정: 귀와 어깨선이 일치하도록 고개를 바로 세우세요.

2. 스트레칭: 목, 어깨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세요.

3. 스마트폰 높이 조절: 화면을 눈높이까지 올리고, 눈과 화면 사이 거리를 30cm 이상 유지하세요. 이렇게 하면 목과 어깨 통증뿐 아니라 눈 피로도 줄일 수 있어요.

4. 수면 자세: 경추의 C커브를 유지할 수 있는 베개를 선택하세요. 뒷목을 살짝 받쳐주고 머리 중앙이 낮은 형태가 이상적입니다.

5. 근력 강화: 등과 어깨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은 목을 지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목에 뻐근함이나 두통 같은 이상 신호가 느껴진다면, 생활 속에서 자세를 교정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합니다.

 

마무리

스마트폰은 편리함을 주지만, 잘못된 사용 습관은 우리의 목 건강을 위협합니다. 거북목과 목 디스크를 예방하려면 지금부터라도 바른 자세와 생활 습관을 실천해보세요. 여러분의 목 건강, 소중히 지켜가길 바랍니다!

반응형